회계

회계학 콘서트 1-5: 분식집 vs 양꼬치집, 이익구조

m-student 2025. 2. 16. 16:18

요약: 이익구조를 잘 파악하자!

 

  • 변동비와 고정비: 매출에 따라 변하는 비용은 변동비(예: 재료비), 변하지 않는 비용은 고정비(예: 임대료)입니다.
  • 한계이익: 매출액에서 변동비를 뺀 금액으로, 이익 계산의 핵심 요소입니다.
  • 이익 구조: 이익은 일차함수 y = c*x - b로 표현 가능하며, c는 한계이익률, b는 고정비입니다.
  • 손익분기점: 이익이 0이 되는 매출액으로, 고정비 / 한계이익률로 계산합니다.
  • 사업 선택: 다양한 이익 구조 분석을 통해 사업 타당성을 판단하고, 기존 사업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매출액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을 변동비라고 하고, 변동하지 않는 비용을 고정비라고 한다. 식당에서 재료비는 변동비이고 임대료 등은 고정비이다. 왜냐면, 재료비는 대체로 많이 팔 수록 증가하지만, 임대료는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매출액의 30%가 재료비라고 가정을 한다면 매출이익은 매출액 - 매출액*30% - 고정비가 될 것이다. 여기서 매출액 - 매출액*30%, 즉 매출액 - 변동비를 한계이익이라고 한다. 위의 경우 모든 변동비는 재료비라는 비현실적인 가정을 하였다. 

 

그리고 좀 더 단순화하여 변동비는 항상 매출액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고 생각해 보자. 즉 변동비는 매출액의 적정 %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이익은 매출액 - 매출액*% - 고정비로 나타낼 수 있고 이익을 y, 매출액을 x, 적정 %/100을 a라고 하면 우리는 이익(손실)을 일차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즉 y = x - x*a - b 로 나타낼 수 있다. 좀 정리하면 y = (1-a)x - b 가 되고 (1-a)를 c로 놓으면 y = c * x - b 가 된다. 이 간단한 일차식만 알면 왠만한 이익의 구조를 다 알 수 있다. 앞에서 기울기 c를 한계이익률이라고도 한다. 마진율과 비슷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서 c가 크면 즉 기울기가 가파르면 매출액에 따른 이익이 빨리 올라간다는 이야기이다. 즉 마진이 높다는 소리이다. 고급 양꼬치의 경우 허름한 분식집보다 이 기울기가 더 가파르다. 고급 양꼬치를 3만원어치 팔았을 때가 라면을 3만원어치 팔았을 때보다 마진이 높다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고급 양꼬치집을 하려면 고정비도 많이 든다. 고급스럽게 꾸며야하고, 최신식 양꼬치 기계도 갖춰야하고, 직원도 많이 써야한다. 따라서 분식집과 같은 매출을 올렸을 경우라고 해도 실제 이익은 고정비가 낮은 분식집이 더 높을 수도 있다. 얼마를 팔았을 때 얼마의 이익이 남는지는 위의 y = c*x - b를 가지고 계산을 해봐야 한다. 아래는 이 이익구조 식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위의 그래프에서 y = 0 이 되는 x값, 즉 x절편을 손익분기점이라고 한다. 매출액이 이 값보다 크면 이익이 발생하고 작으면 손실이 발생한다. 손익분기점은 x절편이기 때문에 중학교 때 배운대로 y를 zero로 놓고 x값을 구해주면 된다. 계산해보면 손익분기점은 b/c 또는 b/(1-a)가 됨을 알 수 있고, 말로 표현하면 손익분기점은 고정비 나누기 한계이익률임을 알 수 있다.

 

만약에 분식집 사업을 할지 고급 양꼬치집 사업을 할지 호텔 사업을 할지 고민이 되시는 분들은 위의 그래프를 엑셀 등으로 그려서 매출과 비용에 따른 이익구조를 잘 파악한 다음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현재 매출에 비해 이익이 나지 않는 회사들 역시 이 근본적인 이익구조를 잘 살펴보고 구조조정 등을 통해서 이익이 나는 방향으로 이익구조를 변환하여야 한다. 아래는 여러가지 유형의 이익구조이다. 복잡해 보이지만 간단하다. 결국 일차함수 (y = c*x -b) 이기 때문에 파라미터가 3개 밖에 없다. 

  • x: 매출이 많은지 적은지 즉 수요가 많은지 적은지이다.
  • c: 영업이익률이다. 매출의 증가 당 이익의 증가가 많은지 적은지이다. 
  • b: 고정비가 많은지 적은지이다.

아래는 여러 경우의 이익구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어떤 형태의 사업과 연관이 있는지 잘 연구해보기 바란다.

 

그리고 엑셀 등을 이용해서 아래처럼 이익구조 테이블을 직접 만들 수도 있다. 아래의 경우 매출이 600,000원 정도는 되어야 겨우 손해를 면할 수 있을 것이다.

매출액 변동비% 변동비 기울기 고정비 이익
x a a*x (1-a), c b y
         100,000                                0                   30,000                      0.7          400,000       (330,000)
         200,000                                0                   60,000                      0.7          400,000       (260,000)
         300,000                                0                   90,000                      0.7          400,000       (190,000)
         400,000                                0                120,000                      0.7          400,000       (120,000)
         500,000                                0                150,000                      0.7          400,000          (50,000)
         600,000                                0                180,000                      0.7          400,000             20,000
         700,000                                0                210,000                      0.7          400,000             90,000
         800,000                                0                240,000                      0.7          400,000          160,000
         900,000                                0                270,000                      0.7          400,000          230,000
     1,000,000                                0                300,000                      0.7          400,000          300,000
     1,100,000                                0                330,000                      0.7          400,000          370,000
     1,200,000                                0                360,000                      0.7          400,000          440,000